케나프데일리 이은성 기자 | 순천만국가정원에서는 10월부터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스마트 관광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추진하는 '2025 관광현장 문제해결 프로젝트 실증사업'으로, 첨단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 관광지 경쟁력을 높이고 관광산업의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증사업에는 딥파인(Deepfine)을 필두로 플리토(Flitto), 플루언트(Fluent), 트리플렛(Triplet), 아티젠스페이스(ArtizenSpace)와 같은 국내 유망 기업들이 참여한다.
이들은 순천만국가정원을 무대로 자사의 혁신 기술을 직접 선보이며, 관광 현장 문제 해결과 동시에 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기업들은 이번 기회를 통해 k-관광 대표 정원에서 실증·검증을 거치며 성장 기반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시스템 도입과 함께 1일부터 4일까지 정원 내에 관광현장의 불편함을 해결해 주는 AI집사 ‘광집사’ 안내부스가 운영된다.
안내부스에서는 내·외국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AI 지도 체험, 맞춤 코스 추천 등 새로운 프로그램 도입을 돕는다.
이번 실증사업으로 순천만국가정원에는 ▲실시간 위치 기반 안내 및 맞춤형 코스를 제공하는 AI 지도 ▲입퇴장객수 및 주요 지점·주차장 혼잡도를 분석하는 AI 혼잡도 분석 ▲맞춤형 실시간 다국어 해설 및 원격 다국어 안내를 제공하는 AI 다국어 안내 ▲AI 챗봇 및 도슨트 서비스가 도입된다.
또한 이번 사업의 핵심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다.
아티젠스페이스와 윤예지 작가가 협업해 제작한 AR 콘텐츠가 메타세콰이어길, 호수정원, 노을정원, 물새놀이터, 스페이스허브 정원의 주요 공간에서 선보인다.
관람객들은 QR 접속을 통해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며 정원 속 새로운 감각을 만끽할 수 있다.
순천만국가정원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발맞춰 국내 정원 중 가장 빠르게 AI와 AR 등 첨단 기술을 도입하는 무대가 되고 있다.
단순한 관람 공간을 넘어, 정원 속에서 새로운 기술을 실험하고 체험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며 미래형 정원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실증사업을 통해 관람객은 더 편리하게 정원을 즐길 수 있고, 순천만국가정원에서는 방문객 흐름과 안전 관리가 한층 효율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관규 순천시장은 “이번 한국관광공사와 협업한 실증사업으로 순천만국가정원은 기업들이 혁신 기술을 실험·선보이는 무대가 될 것”이며 “관광지 경쟁력 강화와 기업 성장 생태계 구축을 동시에 실현하여 스마트·글로벌 정원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